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플레이션이 기회가 될수도 있다고?

by ↔@※★ 2022. 3. 28.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는 떨어지고 물가는 계속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구매 수요 증가로 경기회복이라고도 하기도 하고 공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경기침체라고도 합니다. 화폐와 자산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어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

물건을 사겠다고 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인플레이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건을 사겠다고 하는 사람이 많아지므로 물건의 가격이 오르기 때문입니다. 소비, 고용, 투자 등 구매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가가 상승은 신호로 생각하여 언론에서는 경기 회복의 선순환 신호로 보도하기도 합니다.

반대로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인플레이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건을 사겠다는 사람은 그대로이지만 물건을 많이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이번 코로나19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물건을 생산하던 공장들이 공장을 쉬게 되고 비용도 증가하면서 문 닫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공급이 감소하여 물가가 상승한 것이기 때문에 소비, 고용, 투자가 감소하여 경기 침체 신호로 보아 언론에서  경기침체 신호로 보도하기도 합니다.

인플레이션에 주목할 필요

예를 들어 내가 10억짜리 건물을 사고 싶었는데 가진돈은 1억밖에 없다고 해봅시다. 그때 전재산 9억을 가진 친구가 있는데 친구에게 9억을 빌리며 3년 뒤 10%의 이자를 갚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공교롭게 물가가 계속 올라 건물 가격이 3년 뒤 3배인 30억이 되었다면? 나는 1억에서 30억 자산가가 되었고 친구에게는 9억에 10%인 9억 9천을 돌려주더라도 나는 20억 가까이 남게 되어 부의 순위가 뒤바뀌어 버린 것입니다. 물론 극단적인 예시이지만 인플레이션으로 화폐와 자산의 가치가 변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진다면?

아마 중앙은행(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상승시킬 것입니다. 물건의 가격은 자꾸만 상승하는데 물건과 교환할 화폐의 가치는 자꾸만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화폐라는 것도 일종의 상품이라 생각하면 쉬울 수 있습니다.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켜주기 위하여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은행들이 예대마진을 더해 시중금리 또한 올라가기 때문에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